
“6사 응급환자 발생! 의료과로 이동 중!”
다급한 무전 소리에 나는 한달음에 의료과로 달려갔다. 도착해 보니 수용자 L이 피투성이가 된 발뒤꿈치를 붙잡고 누워있었다. 아킬레스건을 끊으려고 한 모양이다.
수용자 L은 교도소 내에서도 악명이 높았다. 그는 늘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싶어 했다. 젊을 땐 정보공개 청구와 인권위 진정으로 직원들과 부딪혔고, 자신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자해를 서슴지 않았다. 세월이 흘러 50대가 되자 더 이상 그의 행동에 반응해 주는 이도 드물었다.
특히나 L이 수용되어 있는 교도소에 사형수와 무기수, 거물급 수용자들이 많아 그의 존재감은 점점 묻혀갈 수밖에 없었다. 이번에 벌인 소동도 관심을 끌어보려는 정도로 생각했다. 그러던 중 타교도소에 근무하는 교도관 친구가 내게 그의 과거사를 전달하며 신경 좀 써달라 부탁해왔다.
교도소에서 나이가 들어버린 L은 가족도 없고 건강도 나빠져 눈이 보이지 않았는데, 파손된 안경으로 인해 가까이하던 신문과 성경조차 읽지 못하게 된 것이었다. 답답한 상황을 견디지 못한 수용자 L이 결국 선택한 건 자해였다.
그가 선택한 자해라는 방식은 오히려 모든 상황을 악화시킬 뿐이지만 앞으로도 긴 시간을 교도소에서 보낼 그를 위해 최소한의 조치는 해줘야 했다. 나는 사회복귀과에 협조를 구해 L이 안경을 지원받을 수 있게 했다. 이후 안경을 지원받은 수용자 L은 그 어떤 소란도 일으키지 않고 조용히 지냈다.
그저 안경 하나가 필요했을 뿐인데 본인의 발뒤꿈치를 끊는 시도까지 해야 했던 L의 상황이 안타까웠다. 아무래도 교도관 한 명이 많은 인원을 관리하다 보니 개별 수용자들에게 세심하게 관심을 쏟을 수 없다는 한계도 분명히 있었다.
교도관이 조금만 더 신경을 쓰고, 또한 L이 조금만 더 침착하게 행동했다면 안경이 필요한 상황을 보다 단순하고 지혜롭게 일을 해결해 볼 수 있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일이 해결된 것은 다행인 일이지만 말이다.
수용자 L과 같은 과격한 행동은 본인을 고통스럽게 만들 뿐 그 어떤 도움도 되지 않는다. 수용자들이 아무리 막무가내로 행동해도 교도관들은 규칙과 기준을 갖고 움직이기 때문에 수용자들의 요구를 무조건 받아들이지 않는다. 목포교도소 이송 대상자였던 수용자 C의 경우가 그랬다.
나는 이송 전 직원들에게 C를 사동에서 데리고 올 때 그에게 목포 이송에 대한 정보를 주지 않을 것을 당부했다. 전부터 C는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면 쇠붙이 등의 이물질을 삼키는 행동을 반복했었다. 분명 목포 이송이 달갑지 않을 것이고 이 상황을 어떻게든 피하기 위해 사고를 칠 수 있겠다는 직감 같은 것이 들었던 것이다.
아니나 다를까. 시간이 되어도 C는 나타나지 않았고, 호송 직원의 연락이 왔다. C가 부정물품을 삼켰다는 것이었다. C가 삼킨 건 건전지 껍데기로 만든 칼이었다. 주의를 전달받지 못한 사동 담당 직원이 목포 이송을 안내하자 벌어진 일이었다. C를 계획대로 목포로 보내야 할지, 병원으로 보내 칼을 빼내야 할지 교도관들 사이 의견이 분분했다.
나는 목포에 가지 않으려는 C의 행동이 괘씸했다. 하지만 안전 문제는 짚고 넘어가야 하니 인근 종합병원에서 확인은 받아 보기로 했다. 병원 검사 결과, 건전지 칼은 휴지에 둘둘 말려 있었다. 이물질을 삼켜 시간은 벌되, 예리한 칼끝이 자신의 장기를 헤치지 않게 만들기 위한 잔머리였다.
C가 벌여놓은 술수에 나와 직원들은 쓴웃음을 지었다. 껍데기 칼은 대변으로 나오지 않으면 수술을 통해 제거해야 한다고 하니 우선 지켜보기로 했고 며칠 후, C가 삼킨 이물질은 대변으로 배출되었다. 며칠 뒤 C는 목포교도소로 이송조치 되었다. 아무리 잔머리를 굴려도 납득되지 않은 이유로는 요구를 들어줄 수 없다는 걸 확실히 한 것이었다.
이렇게 누군가가 잔머리를 쓸 때 작은 잔머리조차 쓸 수 없어 사건 사고를 만드는 수용자들도 있다. 지적장애 수용자들이 그렇다. 같은 방 수용자들에게 이용당하거나 폭행당하는 경우가 왕왕 있어 거실 지정에도 신경이 많이 쓰이는 사람들이다.
지적장애를 갖고 있는 수용자 J를 누구와 같은 방을 쓰게 할 것인지 고민이 깊을 때였다. 직원 중 한 명이 K를 추천했다. K는 30대 후반으로 격투기 선수를 연상케 하는 체격의 소유자였다. 단순 무식해 교도소 내에서 싸움도 많이 일으켰지만 인간적으로 대해 주면 잘 따라오는 사람이었다.
교도관은 K에게 J를 잘 돌봐달라 당부했고, J에게는 K를 형님처럼 따르라 조언했다. 둘의 합이 괜찮았는지 잘 지내는 듯했다. 그러던 어느 날, J의 얼굴이 피투성이가 됐다. 연유를 들어보니 K는 한글을 잘 못 읽었고, 추가 소송 서류를 받은 상황에서 J에게 문서를 읽어 줄 것을 부탁했다고 한다.
그러자 J가 한글을 못 읽는 K를 놀렸고, 참다못한 K가 주먹을 날렸던 것으로 파악됐다. J의 상태는 꽤 심각했다. 안와골절 진단에 수술까지 받아야 할 판이었다. 그럼에도 J는 K를 놀리는 것이 그저 재미있었다고 말하며 천진하게 웃었다. 본인이 왜 얻어터졌는지를 전혀 모르는 얼굴이었다. 적당한 눈치와 잔머리를 굴릴 머리가 없으니 놀림의 정도와 적당한 때도 몰랐던 J였다.
한 쪽에선 쉴 새 없이 잔머리를 굴리다 해를 입고, 어떤 한 쪽은 그게 부족해 폭행을 당하고 교도소에서는 보통 사람들의 상상을 초월하는 일들이 종종 벌어지고, 그것을 예방하고 수습하는 것이 교도관들의 일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