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검찰총장 인선이 두 달 가까이 지연되면서, 차기 검찰 수장이 누가 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검찰총장 자리는 지난 7월 2일 심우정 전 총장 퇴임 이후 현재까지 공석이다.
17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총장 인선은 검찰총장후보추천위원회가 3명의 후보를 추천하면, 법무부 장관이 이 가운데 1인을 대통령에게 제청하고, 인사청문회를 거쳐 임명하는 절차를 따른다. 일반적으로 총장 임명에는 약 두 달이 소요된다.
이번 인선이 주목되는 이유는 이재명 정부가 강도 높은 검찰개혁을 예고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국정기획위원회는 현재의 검찰을 공소만 전담하는 공소청으로 전환하고 수사는 신설하는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과 경찰에 분산한다는 계획이다. 또 검사 중심의 법무부를 비검찰 출신 인사로 대체할 예정이다.
새 총장은 이 같은 개혁 기조에 발맞추는 동시에 조직 안정을 도모해야 하는 이중 과제를 떠안게 된다.
법조계에서는 내부에서는 구자현 서울고검장(52·사법연수원 29기)과 이정현 법무연수원 연구위원(57·27기), 외부 인사로는 주영환 전 부산고검 차장검사(55·27기), 예세민 전 춘천지검장(51·28기) 등이 거론된다.
구 고검장은 2018년 법무검찰개혁단장을 역임한 대표적인 기획통으로, 문재인 정부 당시 요직을 두루 거쳤다. 윤석열 정부 들어 법무연수원으로 전보되며 한직에 머물렀지만, 이재명 정부 출범 후 고검장으로 복귀했다.
이 연구위원은 2020년 서울중앙지검 1차장으로 ‘채널A 검언유착’ 사건을 지휘하며 윤 전 대통령과 갈등을 빚은 인물이다. 이후 대검 공공수사부장을 지낸 뒤, 2022년 윤석열 정부 출범과 함께 법무연수원으로 발령됐다.
예세민 전 지검장은 문재인 정부 당시 대검 기획조정부장을 맡아 검경 수사권 조정 실무를 이끈 바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인선이 ‘마지막 검찰총장’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여당이 검찰청 자체를 폐지하고 공소청 체제로 전환할 것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총장직에 부담을 느낀 일부 인사들이 총장 제안을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조직 내에서는 장기 공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검찰 고위 간부 인사와 중수청 출범 논의가 총장 인선 지연으로 뒤로 밀리는 분위기다.
한 법조계 인사는 “현 정부의 검찰개혁 방향에 반기를 들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새 총장은 정권 의중과 조직 내부의 균형을 절묘하게 조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