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여사, 이번 주 기소 방침… 특검 “남은 10여 개 의혹 수사 집중”

김건희 여사의 각종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금주 후반 김 여사를 기소할 방침이다. 이후 특검팀은 '양평고속도로 종점 변경', '서희건설 고가 목걸이 수수' 의혹 등 김 여사를 둘러싼 나머지 10여 개 혐의를 규명하는 데 전력을 쏟을 전망이다.

 

26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자본시장법 위반) ▲명태균 씨 공천개입(뇌물수수·정치자금법·선거법 위반) ▲건진법사·통일교 청탁(특가법상 알선수재) 등 세 가지 혐의에 대한 수사를 마무리하고 29일 전후로 기소에 나설 계획이다.

 

특검법상 수사 대상은 16개였으나 인지 사건까지 더해 의혹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애초 양평군 양서면으로 종점이 설정돼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지만 윤석열 정부 출범 후 김 여사 일가 땅 인근으로 바뀌면서 특혜 의혹이 불거졌다. 특검팀은 국토부와 양평군이 민간 용역업체를 압박해 변경을 추진했는지, 원희룡 전 장관과 김선교 의원 등 윗선 개입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양평 공흥지구 개발 과정에서 김 여사 일가 기업이 인허가 특혜와 개발부담금 면제를 받아 이익을 챙겼다는 의혹도 수사 대상이다. 특검은 최은순 씨의 동업자 김충식 씨 창고를 압수수색해, 서희건설 이봉관 회장 등 인사들의 이름이 적힌 수첩을 확보했다.

 

특히 이 회장은 김 여사에게 반클리프앤아펠 목걸이 등 ‘나토 3종 세트’를 건넸다고 자수하며 파장이 커졌다. 그는 일부는 맏사위 인사를 청탁하는 목적이었다고 진술해 매관매직 논란까지 번졌다.

 

이른바 ‘집사 게이트’도 수사 대상이다. 김 여사 일가의 ‘집사’로 불린 김예성 씨가 귀국 직후 구속됐으나 혐의를 부인하고 있어 수사는 교착 상태다.

 

특검팀은 김 씨가 설립에 참여한 IMS모빌리티(비마이카 후신)를 통해 사모펀드로 대기업 등으로부터 184억 원의 투자금을 유치하고, 차명 법인을 세워 46억 원을 부당 취득했다고 보고 있다. 이 중 33억 8000만 원은 회삿돈을 횡령했다고 판단했다.

 

이 외에도 대통령실·관저 이전 특혜, 로봇개 수의계약, 코바나컨텐츠 협찬 의혹 등 남은 사건도 적지 않다.

특검팀은 수사 인력 증원 의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다만 수사 기간 연장과 관련해서는 “아직은 기본 일정 소화 중”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