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로 국가전산망 나흘째 마비…복구까지 2주 전망

29일 오전 기준 47개 시스템 복구
중요도 등 우선순위 두고 복구 중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로 중단된 행정정보시스템 중 29일 오전 8시 30분 기준 47개가 정상화됐다. 중단됐던 시스템 647개 기준, 단순 시스템 개수론 7.3%의 복구율이다. 최종 복구 완료까지는 약 2주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29일 행정안전부는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복구 상황과 향후 대응 계획을 점검한 결과를 발표했다.

 

윤 장관은 “96개 시스템은 바로 재가동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 대구센터의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복구를 추진해 최대한 신속하게 대처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이날 오후 대구센터를 직접 방문해 현장을 점검할 예정이다.

 

복구된 서비스에는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정부24’, ‘모바일신분증’, ‘우체국 금융서비스’, ‘디지털원패스’, ‘전자문서진본확인시스템’ 등이 포함됐다. 복지부 ‘UniMOHW(유니모) 포털’, 노인맞춤형돌봄시스템, 기재부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디브레인)’, 환경부 ‘온실가스 인벤토리’와 ‘배출권등록시스템’, 관세청 ‘빅데이터 포털’, 과기정통부 ‘인터넷 FC 영업지원’ 등도 재가동에 들어갔다.

 

반면 직접 피해를 입은 96개 시스템은 서버가 전소된 탓에 복구까지 최소 2주 이상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권익위 '국민신문고', 공무원 내부 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 등이 여기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신문고 중단으로 소비쿠폰 온라인 이의신청이 불가능해 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해야 하는 불편이 생겼다. 공무원들 역시 연계 시스템이나 공직메일 등을 활용해 임시 대응 중이다.

 

정부는 아직 복구되지 않은 시스템에 대해서는 재가동 시점마다 네이버·다음 포털 공지와 보도자료를 통해 국민에게 알릴 예정이다. 또 민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합동 민원센터(110콜센터), 지역 민원센터(120콜센터)와 전담지원반 운영에 착수했다.

 

중대본 회의에서는 각 부처와 지자체가 서비스 공백을 메우기 위한 대책을 공유했다. 조달청은 '나라장터'를 재해복구시스템(DR) 체계로 전환했고, 환경부는 대표 홈페이지를 민간 클라우드로 이전 중이다. 서울·부산·대구 등 지자체는 자체 대책본부를 꾸려 수기 발급, 우회 로그인 등 보완책을 시행하고 있다.

 

앞서 지난 26일 오후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 5층 전산실에서 배터리 교체 작업 중 불꽃이 튀어 화재가 발생했다. 배터리 384개와 서버 장비가 전소됐고, 이로 인해 전체 647개 행정정보시스템이 멈췄다. 이 가운데 96개는 직접 피해를 입었으며, 551개는 전산실 항온·항습기가 꺼지면서 보호 차원에서 선제 중단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