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분기 저소득층의 복권 구입 비용은 30%가량 줄어든 반면, 고소득층은 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저소득층이 일확천금을 노리고 복권을 구매한다는 인식과 달리, 실제로는 고소득층이 복권 구매에 더 적극적인 양상이다.
20일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복권을 산 가구의 평균 지출액은 7,683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320원)보다 4.9% 증가했다. 같은 기간 복권을 구입한 가구 비율은 10.7%로, 전년 동기(10.1%)보다 0.6%포인트(p) 증가했다.
소득 5분위별로 살펴보면, 소득 상위 40~60%인 3분위 가구가 평균 9,589원을 써 가장 많았다. 이어 소득 상위 20%인 5분위(9,208원), 2분위(7,140원), 4분위(6,704원), 소득 하위 20%인 1분위(4,252원) 순이었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5분위가 20.4%로 가장 높았고, 4분위 13.5%, 3분위 9.5% 순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이 많을수록 복권 구입에 더 많은 비용을 쓴 셈이다. 반대로 1분위는 전년보다 32.1%, 2분위는 7.8% 각각 감소했다.
소득이 많을수록 복권 지출이 확대된 반면, 저소득층은 생계 부담 탓에 복권 소비조차 줄인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고소득층의 복권 구매 증가 배경으로 경기 비관 심리와 함께 주택 가격 부담 등을 꼽는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고소득층의 복권 구입 비용이 크게 증가했다는 것은 경제 상황이 답답하고, 미래 전망이 낙관적이지 않다는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저소득층은 복권 구매조차 부담이 될 정도로 여건이 악화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고소득층의 복권 구매 증가에는 집값 상승 영향도 작용했을 것"이라며 "자신의 소득만으로는 자가 마련 등 자산 증식이 어려운 만큼 '한탕주의'에 기대는 경향이 강해지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복권 판매액은 해마다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복권 판매액은 7조 3,348억 원으로 처음 7조 원을 돌파했으며, 전년(6조 7,507억 원) 대비 8.6%, 2015년(3조 5,550억 원)보다 106.3% 늘었다. 특히 로또 판매액은 지난해 5조 6,562억 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