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가 최근 발생한 KT와 롯데카드의 대규모 해킹 사고에 대해 강도 높은 질타를 쏟아냈다. 특히 KT는 해킹 사실을 늑장 보고하고 피해 규모를 축소·은폐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여야 의원들로부터 대표이사 사퇴 요구까지 받았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24일 KT·롯데카드를 대상으로 청문회를 열고 김영섭 KT 대표이사와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등을 증인으로 소환했다.
청문회에서는 여야를 막론하고 KT의 대응을 강하게 비판했다.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가기간 통신망이라는 이름을 쓰는 것이 부끄럽다”며 “김영섭 대표를 비롯한 임원진은 전원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지난 15일에 해킹을 인지하고도 19일 국회 현장점검에서 이를 숨겼다”며 “전 국민을 기만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같은 당 황정아 의원도 “KT는 해체돼야 할 수준”이라며 “대표직 연임에 연연하지 말고 책임지고 물러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SKT 유심 해킹 당시 ‘해킹에서 안전한 KT로 오라’던 회사가 지금은 허위와 은폐로 일관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국민의힘 역시 강도 높은 비판을 이어갔다. 박정훈 의원은 “KT의 조직문화가 한심하다”며 “민영화 이후에도 공무원식 마인드가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경고 사인이 여러 차례 있었지만 무시했다”며 “초기 신고 내용이 다섯 번이나 바뀌었다”고 말했다.
이상휘 의원은 “어떻게 믿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지 저도 소비자의 한 사람으로서 굉장히 걱정스럽다”면서 (해킹 사태로) 국민들에게 엄청나게 피해를 주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사과를 요구했다.
김영성 대표이사는 “사태 해결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사퇴 요구에 즉답을 피했다. 그는 “예기치 못한 사고로 고객과 국민께 불안을 끼쳐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면서 “부적절한 점은 있었지만 조직적인 은폐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한편 롯데카드 역시 비판을 피하지 못했다. 김장겸 의원은 “해킹 보완책으로 내놓은 무이자 할부 같은 방안은 현실성이 없다”고 꼬집었다. 이주희 의원은 “KT와 롯데카드 모두 사이버 안보 체계가 붕괴한 총체적 난국”이라고 지적했다.
조좌진 대표이사는 “고객의 신용정보를 다루는 회사로서 정보가 유출된 것 자체가 중대한 실패이자 잘못”이라며 “소비자 피해 최소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