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다시금 ‘옥중 메시지’를 내며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된 군인들에 대한 수사를 ‘탄압’이라 규정했다. 그러나 정작 자신이 헌정질서를 무너뜨린 직접적 책임자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군인 보호자’를 자처하며 책임을 떠넘기는 모양새다.
3일 윤 전 대통령의 변호인 송진호 변호사는 전날 자신의 SNS를 통해 “오늘 (윤 전 대통령) 접견을 다녀왔다”며 후기를 전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이 “군에 대한 탄압을 멈추라. 모든 책임은 군통수권자였던 나에게 물으라”며 “기소된 군인들에 대해서는 공소를 취소하라”고 주장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군인들이 비무장 상태로 상관의 명령을 수행했을 뿐”이라며 “군인들을 내란 세력으로 몰고 있는 반국가 세력(수사당국)에 대해 울분을 참을 수 없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송 변호사는 “(윤 전 대통령이) 불구속 상태로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는군인들과 그 가족의 심정이 어떻겠냐고 많이 걱정한다”며 “군인과 그 가족을 위해 매일 기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은 정작 내란 혐의로 기소된 전직 참모총장·사령관들에게 직접 내린 명령이 사태의 출발점이었다는 점은 여전히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윤 전 대통령은 지난 2월6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6차 변론에 증인으로 나온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 등 부하들을 향해 “부당한 지시를 왜 따랐냐”며 비난한 바 있다.
현재 박안수 전 육군참모총장,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등은 지난해 12월 3일 발생한 계엄 사태 당시 주요 지휘관으로서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이들은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지시를 받아 병력을 투입한 것으로 기소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