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사면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향후 정치 행보를 둘러싼 다양한 시나리오가 거론되고 있다.
10일 정치권에 따르면 법무부 사면심사위원회가 8·15 광복절 특별사면 대상자 명단에 조 전 대표 부부를 포함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전 대표는 자녀 입시 비리 혐의로 지난해 12월 징역 2년이 확정돼 복역 중이며, 유죄 확정으로 5년간 피선거권을 잃고 의원직도 박탈됐다. 최종 사면 여부는 12일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이재명 대통령이 내린다.
관심은 사면과 함께 피선거권이 회복되는 복권 여부에 쏠린다. 황운하 혁신당 의원은 최근 라디오 인터뷰에서 “사면은 곧 복권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한다”고 밝혔다. 복권 시 조 전 대표의 정치 복귀 가능성이 커지면서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진보 진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혁신당 내부에서는 조 전 대표가 당대표직에 복귀할 가능성이 우선 거론된다. 당헌·당규에 따라 현재 김선민 수석최고위원이 권한대행을 맡고 있지만, 전당대회를 열어야만 대표직 복귀가 가능하다. 혁신당은 9월 정기국회와 국정감사 일정을 감안할 때 전대 개최 시점은 그 이후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조 전 대표가 내년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부산시장 등 광역단체장 선거에 직접 나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반면 중앙 정치 무대 복귀를 위해 국회의원 보궐선거 출마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혁신당은 22대 총선에서 호남에서 높은 지지를 받았고, 지난해 전남 담양군수 재선거에서 민주당을 제친 경험이 있다.
다만 여권과 국민의힘이 ‘정치인 사면’에 부정적인 기류를 보이고 있는 만큼, 사면·복권 이후에도 조 전 대표가 당분간은 저강도 행보를 이어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최근 발간한 저서 ‘조국의 공부’ 북콘서트를 통해 대중과의 접점을 넓히는 방식이 거론된다.
혁신당 관계자는 “밖에서는 조 전 대표를 결승선 직전의 단거리 선수처럼 보지만, 안에서는 이제 막 출발선에 선 마라토너로 본다”며 “정치를 오래 할 사람이라 처음부터 전속력으로 뛰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