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애, 방중으로 후계자 입지 강화…국정원 “혁명 서사 확보”

김정은 건강 이상 징후 없어…“심박·혈압 정상 범위”
다른 자녀 유학·장애설 부인…“생체정보 노출 최소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딸 김주애가 최근 중국 방문을 통해 후계자로서의 입지를 강화했다는 국가정보원의 분석이 나왔다. 김주애는 김 위원장과 김 위원장의 배우자 리설주의 자녀로, 현재 10대 초반으로 추정된다.

 

11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정원은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회의에서 “김주애 방중 취지가 기본적으로 세습을 염두에 둔 것”이라며 “방중 기간 해외 경험을 통해 유력 후계자 입지에 필요한 혁명 서사를 확보했다”고 보고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박선원·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은 이날 언론에 이같은 국정원의 분석을 전하며 “김주애는 방중 기간 대사관에 머물며 외부 출입을 자제했고, 귀국 시 전용 열차에 미리 탑승해 언론 노출을 최대한 회피했다”고도 말했다.

 

박 의원은 “대사관에 투숙하고 특별기를 통한 행사 물자와 폐기물 운송 정황이 파악되는 등 북한이 김 위원장과 김주애의 생체정보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만전을 기해온 모습도 관찰됐다”는 국정원의 분석 역시 전했다.

 

이어 “회의에서 (국정원에) 김주애를 제외한 자녀 여부 질문이 나왔다”면서 “(다른) 자녀가 장애를 갖고 있거나 혹은 유학을 갔다는 여러 설이 있지만, 유학은 존재를 숨기려 해도 드러나지 않을 수 없기에 유학 가능성을 높게 보지 않는다고 보고했다”고 말했다.

 

또한 김 위원장의 ‘건강 이상설’도 사실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한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건강 관련해서 행사 전체 일정을 특별한 문제 없이 무난히 소화한 것으로 평가된다. 심박·혈압 등 대부분이 정상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김 위원장이 방중을 스스로 평가하기에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 보고 있는 것 같다”며 “북중러 3국 간 연대를 과시하는 그림을 충분히 발신해 정상 국가의 지도자라는 모습을 보이려고 했는데, 그런 모습을 연출하는 데 상당히 성과가 있었다고 자평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위원장과 김주애는 지난 2일 열린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 함께 등장한 바 있다. 열병식은 탈냉전 이후 66년 만에 북한·중국·러시아 3국 정상이 한자리에 모인 자리로도 관심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