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양국이 조지아주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와 관련해 재발 방지 대책과 비자 제도 개선에 협력하기로 했다.
크리스토퍼 랜도 미국 국무부 부장관은 14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박윤주 외교부 제1차관과 회담을 갖고 "이번 사태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귀국 근로자들의 미국 재입국 시 불이익이 없도록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박 차관은 회담에서 우리 기업 근로자들이 부당하게 미국 내 구금시설에서 겪었던 불편한 처우를 언급하며, 우리 국민이 이번 사태로 깊은 충격을 받은 사실에 유감을 표했다. 그러면서 미국 측이 우리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인 재발 방지 및 제도 개선을 위한 조치를 취해줄 것을 강하게 요청했다.
이에 랜도 부장관은 우선 이번 사태가 일어난 것에 '깊은 유감'을 표하며 "이번 사태를 한미관계 강화를 위한 전기로 활용해 나가자"라고 화답했다.
특히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이 문제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 만큼 귀국자들이 미국에 재입국할 때 어떠한 불이익도 없을 것이며, 향후 유사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아울러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활동이 미국 경제·제조업 부흥에 크게 기여한 것을 절감하는 만큼,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한국 근로자들의 기여에 합당한 비자가 발급될 수 있도록 박 차관이 언급한 후속조치 관련 실무협의를 속도감 있게 진행하자고 말했다.
두 사람은 9월 말 제80차 유엔총회와 10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 다양한 국제행사를 계기로 한 한미 고위급 외교 일정을 논의하고, 이를 계기로 지난 한미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조선, 원자력, 첨단기술 등 미래지향적 분야에서 더욱 진전된 협력 성과를 도출할 것에 공감했다.
또한 랜도 부장관은 한국의 대북정책에 대해서도 잘 이해하고 있다고 말하며, 향후 대북정책과 관련해서도 양측이 긴밀한 공조를 지속해 나가자고 밝혔다.
이날 한미 외교차관 회담에 앞서 조현 외교부 장관 역시 랜도 부장관을 만나 이번 구금 사태가 한미 모두에게 좋은 결과로 귀결될 수 있도록 랜도 부장관이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해줄 것과 한미 정상회담 후속조치가 실행될 수 있도록 신경써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