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와 영국이 주요 7개국(G7) 가운데 처음으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승인했다. 호주와 포르투갈도 같은 날 동참하면서 팔레스타인을 주권국가로 인정한 유엔 회원국은 단숨에 151개국으로 늘어났다. 이번 결정은 유엔총회를 계기로 프랑스 등 다른 유럽 국가의 추가 지지도 이어질 전망이다.
21일(현지시간)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주도의 국가를 인정하는 것은 평화로운 공존을 지지하고 하마스 종식을 돕는 국제 공조의 일환”이라며 팔레스타인 인정 성명을 발표했다.
같은 날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도 “(팔레스타인 승인은) 두 국가 해법을 위한 희망을 되살리기 위한 결정”이라며 “하마스에 대한 보상이 아니다”라는 메시지를 발표했다. 이어 하마스에 부과할 추가 제재안을 수주 내에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또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팔레스타인인의 정당한 염원을 존중한다”는 성명을 발표했고, 파울루 한젤 포르투갈 외무장관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 총회에서 기자들에 “정의롭고 지속적인 평화를 향한 유일한 길인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이로써 193개 유엔 회원국 중 팔레스타인을 주권국가로 인정한 나라는 147개 국가에서 151개 국가로 증가했다. 특히 G7 국가들에서 국가 인정 선언이 나오면서 국제 정세에 큰 변화가 일 것으로 예상된다. 1917년 유대인 국가 건설을 지지한 ‘밸푸어 선언’을 발표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역사적 출발점이 된 영국이 팔레스타인 승인에 나선 것 역시 커다란 변곡점으로 평가된다.
유엔총회를 전후해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다수 국가가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검토하고 있어 국제사회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압박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미국은 이번에도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에 부정적 입장을 고수할 것으로 보여 중동 정세가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마흐무드 압바스 수반은 4개 국가의 팔레스타인 인정에 대해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한 필수 단계”라며 환영했다. 무장정파 하마스도 “예루살렘을 수도로 한 독립국가 수립에 중요한 진전”이라는 메시지를 발표했다.
반면 이스라엘은 즉각 반발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팔레스타인을 인정하는 것은 테러에 대한 보상”이라며 “요르단강 서안에 팔레스타인 국가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