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들이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를 계기로 미국 뉴욕에서 만나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재확인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국이 비핵화 목표를 포기하면 만날 수 있다”고 밝힌 지 하루 만에 나온 공동성명으로, 대북 비핵화 원칙을 더욱 분명히 한 것이다.
G7 외교장관은 23일(현지시간)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납치 문제의 즉각 해결을 위한 우리의 의지를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앞서 한미일 외교장관도 유엔총회 기간 공동성명을 내고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른 북한 비핵화 의지를 확고히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G7은 러시아의 에스토니아·폴란드·루마니아 영공 침범을 “국제사회 안보를 저해하는 행위”로 규정하며 강력히 비난했다. 제3국을 겨냥한 추가 제재와 러시아 자산 활용 방안도 논의하며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해 러시아에 경제적 희생을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전쟁에 대해서도 “가자지구 민간인의 고통을 줄이기 위한 인도적 지원과 모든 인질 석방이 시급하다”며 휴전을 촉구했다. 다만 “하마스는 가자의 미래에 어떠한 역할도 해서는 안 된다”며 재차 경고했다.
이란 문제와 관련해서는 영국·프랑스·독일(E3)이 최근 이란의 합의 불이행을 이유로 발동한 ‘스냅백’ 절차를 지지하며 “이란이 핵확산금지조약(NPT) 의무를 완전 이행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협력을 재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G7은 “규칙에 기반한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이 중요하다”며 남중국해·동중국해·대만해협 등에서 무력이나 강압으로 현상 변경을 시도하는 모든 움직임에 강력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는 최근 중국이 남중국해에 해양 연구소 설립을 추진하는 등 분쟁 지역에 대한 영유권 장악 시도를 진행하는 데에 대한 경고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