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1월 15일부터 3월 8일까지 52일간 서울구치소에 수감됐던 ‘1차’ 구속 기간 동안 전담 교도관 7명을 심부름꾼과 사동 도우미로 부렸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30일 더불어민주당 장경태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4월, 전·현직 교도관들이 모인 ‘담장 밖의 교도관’ 카페에 “윤 전 대통령 탄핵 후 법무부에서 감사해야 하는 일들”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해당 카페는 교도관 인증을 받아야 가입할 수 있는 곳으로, 전·현직 교도관들의 주요 소통 창구로 알려져 있다.

글쓴이는 “서울구치소 측이 교정보안직원 7명을 징발해 심부름꾼과 사동 도우미로 부렸다”며 “직원들을 3부제로 24시간 윤 대통령 수발을 들도록 지시한 근거가 무엇인지, 책임자는 누구인지 조사해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외부에서 들어온 미용사의 손질 의혹, CCTV 없이 4개의 혼거실을 혼자 사용한 점, 허가받지 않은 차량의 구치소 진입 여부, 특별한 사정이 없음에도 주말과 휴일에 변호사 접견을 무제한 허용한 근거, 제3자 지시에 대한 조사 등이 필요하다”며 “이러한 일들이 자체 조사와 책임자 처벌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교정 당국은 국회 감사에서 수모를 당하고 예산도 받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교도관이 “웬만하면 글 내리세요”라고 남기자 한 교도관은 “절대 내리면 안 된다. 진실을 알리고 정의를 바로 세우는 게 우선”이라고 반박했다.

이 같은 의혹은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소속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들이 지난 1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현장검증 과정에서도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장경태 의원은 김현우 당시 서울구치소장에게 “7명의 교도관이 전담으로 ‘사동 도우미’ 역할을 하며 사실상 ‘제왕’처럼 생활했다는 의혹이 사실이냐”고 묻자, 김 소장은 “네”라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장경태 의원은 <더시사법률>에 “교도관들이 윤 전 대통령을 위해 편지를 배달하고 물을 떠다 주는 등 수발을 들었다는 제보가 있었지만, 근무일지가 없어 이를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윤 전 대통령의 1차 구속 당시 교도관 7명으로 구성된 ‘윤석열 전담팀’이 운영됐으나, 52일간 근무일지가 전혀 작성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논란이 커지자 법무부는 “서울구치소 교도관들이 윤 전 대통령에게 물을 떠다 주는 등 잡일을 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하면서도 “근무일지 미작성 등 부적절한 사실이 확인돼 엄정한 감찰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민주당은 이번 국정감사에서 윤 전 대통령 특혜 논란으로 경질된 김현우 당시 서울구치소장과 ‘윤석열 전담팀’ 교도관들을 증인으로 채택해 진상을 규명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