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소 내 수형자들이 이용하는 수발 업체가 상호명만 다를 뿐 운영자는 동일한 조직이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피해를 호소한 수형자 A 씨는 “이건 명백한 조직형 사기”라며 실체를 밝혀달라고 호소했다.
A 씨는 『더 시사법률』에 보낸 편지를 통해 복역 중 스포츠신문 광고를 보고 여러 수발 업체에 영치금을 입금했지만,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고 대부분 연락이 끊겼다고 주장했다. 그가 입금한 금액은 총 250만 원, 이 중 한 곳에만 170만 원을 송금했지만 결국 ‘보냈다’는 말만 남기고 먹튀를 당했다는 것이다.
A 씨는 “초기에는 중고책이나 문구류를 매우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처럼 접근해 신뢰를 쌓은 뒤, 추가 입금을 유도하고 나중엔 2~3주에 걸쳐 연락이 끊긴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광고지에 안내된 계좌들이 대부분 비슷했고, 겉보기엔 서로 다른 업체인 ‘a’, ‘b’, ‘c’에 각각 연락했지만 결국 같은 인물에게서 연락이 와 ‘왜 굳이 다른 데 연락하냐’는 말을 들었다”고 했다.
A 씨의 주장에 따라 『더 시사법률』이 확인한 결과, 해당 수발 업체들은 상호명만 다를 뿐 실제 운영자는 동일한 인물인 것으로 확인됐다.
과거 수발업체를 운영했던 한 관계자는 “수형자들도 이런 구조를 대충 알고 있다. 그런데도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돈을 보내고 또 당한다”고 전했다.
한편 채널A 보도에 따르면, 최근 한 구치소에서 수발 업체를 통해 마약이 반입된 정황이 드러나면서, 수발 업체 전반에 대한 강도 높은 제재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수발업체 전 관계자는 “만약 교정본부의 제재가 더 강화될 경우, 수형자들이 이미 결제해 놓은 잔액에 대한 피해도 커질 수 있다”며 “더 큰 피해를 막기 위해선 지금이라도 수발 이용을 중단할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A 씨는 편지 말미에 “내 편지 한 통이 누군가에게는 경고가 되기를 바란다”면서 “더 이상의 피해자가 생기지 않도록 반드시 이 사기의 실체가 드러나길 바란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