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은 4일 미국 측이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쌀 추가 개방을 시사한 데 대해 “쌀과 육류의 추가 개방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용범 정책실장과 제가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추가 개방은 없다’는 점”이라며 “세부적인 언급은 협상 결과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레빗은 각각 SNS와 브리핑에서 쌀 추가 개방 가능성을 시사하는 듯한 발언을 내놓은 바 있다. 이에 대해 강 대변인은 “트위터 맥락을 보면 ‘개방한다’고 단정적으로 말한 것은 아니다”라며 “레빗 대변인의 발언도 맥락상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양국이 각자의 국익을 위해 조금씩 다른 설명을 하는 것이지, 충돌하거나 항의하는 사안은 아니다”며 “진위를 따지는 것이 되레 국익에 손해가 될 수 있다는 판단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우리 정부 입장은 명확히 하되, 미국 측과의 외교적 충돌을 피하고 추가 협상에 불리한 상황을 만들지 않기 위한 신중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한편 강 대변인은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을 둘러싼 이견이 표출된 것과 관련해 “정청래 대표가 오전에 개별 의원의 발언 자제를 요청했고, 이후론 표출된 목소리는 많지 않다”고 설명했다.
정 대표가 검찰·언론·사법개혁을 추석 전까지 마무리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선 “당정 간 속도 조율과 협의가 필요한 사안”이라며 “입법부와 행정부가 큰 방향에서 발걸음을 맞춰 나갈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한미연합훈련 중 일부 야외기동훈련이 연기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조율이 있을 수는 있지만, 큰 틀의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