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8일 대한상공회의소를 방문해 공정경제 실현을 위한 재계의 협력을 요청했다. 아울러 최근 미국에서 발생한 ‘한국인 구금 사태’와 관련해 비자 문제 해결을 약속했다. 이에 대한상의는 구조적 재발 방지대책 마련과 기업규제 개선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날 정 대표는 서울 중구 대한상의 챔버라운지에서 열린 정책간담회에서 “공정 경제는 모든 경쟁 주체가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환경 속에서 불필요한 규제를 걷어내고 활력을 보장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정 경쟁 조치가 때로 성장을 저해한다는 오해를 낳지만, 균형을 잡는 것이 숙제”라며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인) 공정 경제 실현과 경제 발전을 위해 대한상의가 힘을 보태고 당이 화답하는 일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상의 회장직을 맡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경제가 성장해야 민생 회복과 글로벌 경쟁 대응이 가능하다”며 “미국의 관세 정책 영향으로 수출 중심 전략은 한계에 다다른 만큼 새로운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기업 규모별 차등 규제가 여전히 많아 성장할수록 보상이 줄고 부담이 커지는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며 경제단체가 연말에 정부에 제안할 종합 정책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서는 미국 이민 당국의 단속으로 발생한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관련 ‘한국인 구금’ 사태도 논의됐다. 정 대표는 “기업인들께서 크게 놀라셨을 것”이라며 “앞으로 이런 일이 없도록 비자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정부와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정부의 신속한 대응에 감사드리며, 비자 쿼터 확보와 국민 안전 보장을 위한 구조적 대책 마련에도 당의 관심을 부탁한다”고 화답했다.
정 대표는 재계와의 소통 필요성도 역설했다. 그는 “통즉불통 불통즉통, 즉 소통이 막히면 경제도 아프다는 뜻”이라며 “정기적 소통으로 오해를 줄이자”고 제안했다. 이는 소상공인연합회, 중소기업중앙회에 이어 이어진 연속 민생 행보의 일환이다.
비공개로 전환된 간담회에서 대한상의 회장단은 대미 관세 및 ‘마스가’ 협상 대응, 상법·노란봉투법 처리, 과도한 경제형벌 완화, 오는 11월 경주 APEC 정상회의에 대한 국회 차원의 지원 등을 건의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