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유가족들이 국회를 찾아 책임자 처벌과 철저한 진상 규명을 거듭 요구했다. 유가족들은 “진상규명이 빠진 특별법은 의미가 없다”며 보상보다 원인 규명이 먼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 등 유족들은 24일 국회에서 양향자 국민의힘 최고위원을 만나 의견을 전달했다. 당초 장동혁 대표와의 면담이 예정돼 있었으나 유족 측 요청으로 양 최고위원을 먼저 만나 대화를 나눴으며, 장 대표는 추후 유족 요청이 있을 시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유족들은 이날 면담에서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12·29여객기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안’의 명칭을 지적했다. 법안 명칭에 ‘무안공항’과 ‘제주항공’을 명시해 참사의 성격을 분명히 해야 한다는 요구다. 또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해 특별검사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밝혔다. 특검을 통해 정치적 논쟁을 피하고 수사기관이 집중 수사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주항공 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 김유진 씨는 “참사로 아버지 어머니 남동생을 잃었다. 왜 참사가 났는지 정말 알고 싶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유가족 A씨는 “생업을 접고 5개월째 진상규명을 호소했지만 어느 국회의원도 나서지 않았다”며 “진상규명도 없는 상태에서 공항을 개항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말했다. 유가족들은 주중·주말을 가리지 않고 공항 쉘터에서 1인 시위와 현수막 게시를 이어가며 보상이 아닌 진상 규명에 집중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양 최고위원은 “유족들이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이뤄져야 가족을 보낼 수 있다고 말했다. 너무나도 처참한 상황”이라며 “유족 측 요청을 당 지도부 차원에서 다룰 계획”이라고 전했다. 국민의힘은 이번 국정감사에서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를 집중적으로 다뤄 사고 원인 규명과 책임자 처벌, 유족 보상 방안 등을 논의할 방침이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는 지난해 12월 29일 발생했다. 태국 방콕을 출발해 전남 무안국제공항으로 향하던 여객기가 착륙 중 불시착해 179명이 사망하고 2명이 중상을 입었다. 이는 국내 항공사고 역사상 가장 큰 인명피해 중 하나로, 사고 원인에 대한 공식 조사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한편 이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교통법안심사소위원회는 항공·철도 사고조사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심사됐으나, 검토가 더 필요하다는 의견으로 인해 통과되지 못했다.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1월 대표발의한 개정안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를 국토부 소속에서 국무총리 소속 독립기구로 격상하고, 위원장도 대통령으로부터 임명받게 했다. 그러나 일각서 부처 이관 외 예산과 인사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돼 심사를 이어가기로 했다.